웹스쿨
crypt 암호화 삽질 여행기 본문
반응형
대략의 스토리는 이렇다.
Java Spring 으로 개발된 사이트가 있었다.
프레임워크는 드럽게 많이 쓴 사이트였다.
Spring boot, 엥귤러 js, 하이버네이트...
이걸 토탈로 JHIPSTER -_-;
정녕 프레임워크는 누구를 위한 도구인가~~~
암튼 잡소리는 집어치우고,
이 사이트를 php로 재개발 하여야 했다.
내 생각은 이러했다.
1. 모델부분 즉 DB 스키마는 그대로 가자. DB 스키마는 그대로 가기 때문에, 데이터 이관시에 덤프만 떠서 옮기면 된다는 나의 전략!
2. 컨트롤러 부분만 php에 맞게끔 개발하자.
모든게 순조로울 거라고 생각했던 찰나.
아뿔싸 회원디비의 패스워드가 암호화 되어 있었다는것을 망각...
물론 java 나 php 나 암호화 알고리즘은 동일하게 지원이 대부분 되기 때문에 큰 걱정은 안하고 있었다.
그리고 java 에서 아래 라이브러리를 사용하고 있다는 것을 확인했다.
import org.springframework.security.crypto.password.PasswordEncoder;
검색을 해보니 erypt 암호화 더군.
또 검색결과 php 에서는 password_hash 또는 erypt 함수를 사용하면 된다.
여기서부터 기나긴 나의 삽질 여행기가 시작되었다.
결론만 따져보면 password_verify 함수로 체크를 하면 되는 거였음 -_-;
$2a$10$QhcD0taIY7yvOpO.QoKER.Fr.OwWb2zUi54ZLvyDVDD9s0W/9zvwK
이 게시글은
https://webschool.kr/?v=board_view&board_key=7&idx=274
에서 작성한 글입니다. 소스코드의 경우 해당 블로그에서 이뿌게 노출이 되지 않을 수 있사오니, 위 링크로 들어오셔서 보시길 바랍니다.
https://webschool.kr/?v=board_view&board_key=7&idx=274
에서 작성한 글입니다. 소스코드의 경우 해당 블로그에서 이뿌게 노출이 되지 않을 수 있사오니, 위 링크로 들어오셔서 보시길 바랍니다.
반응형
'개발 경험 Tip > PHP' 카테고리의 다른 글
php.ini opcache.enable 설정 (0) | 2023.03.31 |
---|---|
json_encode 시에 single quote 에러 문제 해결방법 (0) | 2023.03.31 |
phpmyadmin 으로 csv 파일 import 하기 (0) | 2023.03.31 |
XE에서 로그인 아이디 가져오는 방법 (0) | 2023.03.31 |
PHPMailer 를 이용한 email 발송 (0) | 2023.03.31 |